OPEN INNOVATION FORUM

HANMI'S OPEN INNOVATION

오픈이노베이션, 선택 아닌 필수

한미약품 주최 '한미 오픈이노베이션 포럼'이 매년 개최됩니다.
이번 포럼은 유망신약 기술을 보유한 국내 바이오벤처 및 학계,
연구기관 등과의 상생을 통해 국내 신약개발 확산에 기여하자는
취지로 마련됐습니다.

한미약품은 오픈이노베이션 포럼을 통해 한미약품의 파이프라인을
탄탄하게 구축하는 한편, 산·학·연관의 다양한 협업방식도
구체화해 나갈 계획입니다.

1st HANMI OPEN INNOVATION FORUM2016

Session 1 : 개방형 혁신을 통한 건강한 동반성장 생태계 구축 (좌장 : 울산의대 이동호 교수)

  • Hanmi Open Innovation Forum
    (한미약품 손지웅 부사장)

    최근 신약개발 성과 중에서 개방형 혁신의 사례를 살펴보고, 신약개발의 핵심 성공 요인에 대한 생각과 경험을 공유한다. 나아가, 향후 제약강국 도약을 위한 혁신 생태계 구축에 대한 제언 및 이를 위한 한미약품의 향후 R&D 전략에 대해 설명한다.

  • Biocon : The Target Factory
    (서울대학교 김성훈 교수)

    서울대학교 의약바이오컨버전스연구단(Biocon/2010년 출범)은 신약 후보물질에 대한 기초연구부터 신약개발까지의 단계를 통합한 플랫폼 ‘타깃 팩토리(Target Factory)'을 개발해, 비용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신약개발이 가능하다고 설명한다.

  • Open Innovation : National OncoVenture Model
    (항암신약개발사업단 박영환 본부장)

    현재 전세계적으로 다양한 항암제가 개발되고 있고, 단일요법으로 충분한 치료가 부족한 암 종에 대해서는 2제 또는 3제 등 병용요법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할 때, 오픈이노베이션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는 점을 강조한다.

  • 바이오텍 관점에서의 오픈이노베이션
    (브릿지바이오 이정규 대표)

    오픈이노베이션 전략 수립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3가지 요소(3I : Invention, Intelligence, Interaction)를 규정하고, 이 3가지 요소가 조화를 이뤘을 때 성공적인 오픈이노베이션이 가능하다고 조언한다.

Session 2 : 개방형 혁신을 위한 연구기관 및 기업의 노력 (좌장 : 한미약품 손지웅 부사장 / 브릿지바이오 이정규 대표)

  • Academic Drug Discovery
    (KIST 심태보 연구센터장)

    현재 진행 중인 암 유발 단백질을 저해하는 신규 저분자 유기화합물 탐색 및 후보물질 도출 연구 등에 대해 소개한다. 단백질 키나아제(protein kinase)는 생체 내 신호전달 체계를 담당하는데, 돌연변이 등에 의한 특정 키나아제의 과다 활성화는 암, 염증질환 같은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게 된다.

  • 레고켐의 Open Innovation
    (레고켐바이오 김용주 대표)

    레고켐의 성공적 기술이전 사례를 통해 한국 상황에 가장 적합한 기술이전 모델에 대해 소개하고, 글로벌 제약기업이 처해 있는 Innovation Gap(연구생산성 저하)과 Patent Cliff(특허절벽)라는 위기 국면이 초기개발 역량을 갖춘 벤처들의 무한한 기회로 작용할 것이라 조언한다.

  • 압타바이오의 오픈 이노베이션
    (압타바이오 문성환 사장)

    10년이상 당뇨를 앓아온 환자의 70~90%에서 발생하는 당뇨합병증 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활성화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조절 플랫폼 기술인 NOX(NADPH oxidase) 저해제 관련치료제(당뇨병성신증, 당뇨망막병증, 동맥경화치료제 등) 개발 현황에 대해 소개한다.

현장 스케치

한미 오픈이노베이션 관련 뉴스

‘제1회 한미 오픈이노베이션 포럼 2016’ 개최
글로벌 빅파마 성과 공유...한국형 R&D 전략 제시
'제1회 한미 오픈이노베이션 포럼 2016'이 지난 1월 21일 한미약품 주최로 서울 신라호텔에서 개최됐습니다. 행사장에는 업계 관계자 600여명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습니다. 올해 포럼에서는 '개방형 혁신을 통한 건강한 동반성장 생태계 구축'과 '개방형 혁신을 위한 연구기관 및 바이오텍의 노력' 2개 주제의 세션으로 진행됐으며, 총 7개 업체 및 기관의 구연발표, 19개의 포스터 발표가 진행됐습니다.